Skip to content

GDSC-Hongik/GDSC-1st-Backend-Study

Repository files navigation

GDSC-1st-Backend-Study

GDSC 1기 백엔드 스프링 스터디 레포입니다 🙆🏻‍♀️

📁 Project Structure

│
├─ GDSC-1st-Backend-Study
│     │
│     ├─ ssssujini99 (dir)
│     │     │ 
│     │     ├─  스프링 입문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README.md // 해당 강의 마크다운 파일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gradle/wrapper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src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.gitignore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build.gradle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gradlew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gradlew.bat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settings.gradle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├─ 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편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.. 이하 동일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├─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.. 이하 동일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├─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.. 이하 동일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└─ 자바객체지향 스프링 기본책 (dir)
│     │          └─ README.md
│     │ 
│     │ 
│     ├─ ImNM (dir)
│     │     │ 
│     │     ├─  스프링 입문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README.md // 해당 강의 마크다운 파일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gradle/wrapper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src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.gitignore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build.gradle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gradlew
│     │     │    ├─ gradlew.bat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settings.gradle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├─ 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편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.. 이하 동일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├─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.. 이하 동일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├─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(dir)
│     │     │    └─ .. 이하 동일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│
│     │     └─ 자바객체지향 스프링 기본책 (dir)
│     │          └─ README.md
│     │   
│     │   
│     ├─ .. 이하 동일
│ 
│ 

📝 해당 주차 과제 가이드

📤 프로젝트 열기

  •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IntelliJ에서 원격 저장소를 연결해줍니다
  • git init // 원격 저장소 init
  • git remote -v https://github.com/GDSC-Hongik/GDSC-1st-Backend-Study.git // 원격 저장소 연결
  • git pull origin master
  • IntelliJ의 terminal에서 자신의 branch로 checkout을 해주세요
    • git checkout origin [본인 github 아이디]
  • 작업은 해당 본인 branch에서만 진행해주세요 (❌master branch❌)
    • git branch : 현재 branch 확인

🏡 작업공간 생성

  • GDSC-1st-Backend-Study (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)
    • 본인 github 아이디명의 디렉토리 (본인 github 아이디로 설정해주세요!)
      • 해당 강의 디렉토리 (강의 이름으로 설정해주세요!)
        • 스프링 소스코드 ...
      • 책 디렉토리 (책 이름으로 설정해주세요!)

| 본인 github 아이디명의 디렉토리부터 만들고 시작하시면 됩니다! 😊

💾 중간 중간 commit 하기

  • 파트 별로 작업을 끝냈거나 더 작은 단위로 작업을 끝낼 때 마다 commit을 해 주는 게 좋아요

  • ❗commit convention ❗️

    • Feat: 새로운 기능 추가
    • Fix: 버그 수정
    • Docs: 문서 수정
    • Style: 코드 포맷팅, 세미콜론 누락, 코드 변경이 없는 경우
    • Refactor: 코드 리펙토링
    • Test: 테스트 코드, 리펙토링 테스트 코드 추가
    • Chore: 빌드 업무 수정, 패키지 매니저 수정
  • 예시: git commit -m "[Feat(해당 파일): OO 기능 추가]"

✍🏻 README.md 파일 작성하기

  • 해당 주차 책을 공부하면서 알게 된 부분, 중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이 있다면 정리해 주세요!

    • 개념 정립도, 요약도 모두 좋습니다! 😊
  • 해당 주차 강의를 들으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추가적으로 더 공부한 부분이 있다면 정리해 주세요!

    • 요약도, 복습도 모두 좋습니다! 😊😊
  • 1~4주차는 책 내용 우선 -> 강의 내용 순서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!

  • .md 파일은 mark down 언어로 작성된 파일을 뜻해요

🙌🏻 Github 레포지토리에 push하기

  • 해당 주차의 강의를 모두 듣고 작업을 모두 끝냈다면, 프로젝트 변경 사항을 remote repository(github repository)에 push 합니다
    • git push origin [본인 github 아이디 브랜치 명] : git에 등록되어 있는 origin(github repository)에 있는 자신의 branch로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반영합니다
  • push를 완료했다면 스터디 repository에서 pull request를 진행합니다
  • PR(Pull Request)시 메세지 제목은 다음과 같이 [1기_OOO] 1주차 미션 제출합니다. 라고 적은 후 create pull request 버튼을 눌러주세요
  • PR : base: [master] <- compare: [본인 github 아이디]

⏰ 과제 제출 마감 기한

  • 백엔드 스터디 있는 해당 요일 낮 12시까지 PR을 보내면 됩니다! 😊

About

GDSC 1st Backend Spring Study Repository

Resources

Stars

Watchers

Forks

Releases

No releases published

Packages

No packages published

Languag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