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@NodabFamily

NodabFamily

대한민국 최고 개발자 5인 '최김나박이' 패밀리

1. 프로젝트 개요

  • 프로젝트 주제

    • 가족간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, 추억 공유 서비스

    • 자세히
      • 가족이란?

        • 혈연·인연·입양으로 연결된 일정 범위의 사람들(친족원)로 구성된 집단을 가리키는 가족학용어. 친족집단
        • 핵가족은 결혼하지 않은 자녀와 부모가 함께 사는 가족을 말합니다. 오늘날 핵가족이 늘어나는 까닭은 교육이나 취직 문제 때문.
      • SNS의 특성

        • 타인의 정보가 생기면, 사람은 비교를 하게 된다.
        • 사람은 타인과 정보공유가 비대칭적인 것에 대해서 비선호한다.
        • 사람은 본능적으로, 자기 가족의 정보를 알리는 것을 싫어한다.
        • 기존 SNS 같은 경우는, 가족 단위로 공유하고 싶은 내용, 기록들을 노출 될 수 있는 확률
      • 가족의 특성

        • 가족은 인간이 가장 처음으로 맺는 인간관계
        • 혈연관계에 있어 폐쇄적인 특징을 가진다.
      • 포지셔닝 전략

        • SNS(instagram, facebook, twitter 등)는 기본적으로 사회 전반적인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목표로 운영된다.

        • SNS의 광범위한 공개성 때문에 밴드, 클럽하우스와 같은 폐쇄적인 sns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.

        • 오히려 사용자 target을 광범위하게 확장하면, 기존의 대규모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, 경쟁력이 없다.

          ⇒ 당근마켓(당신의 근처에 있는 마켓)은 중고 시장을 동네로 한정지어 성공한 사례.

        • 밴드의 경우에는 어른들이 많이 쓰는걸로 아는데, 구체적인 자료 있으면 어른 세대들이 폐쇄적인 sns를 선호한다는 뒷받침 자료도 될 수 있을 것 같다.

1.1 추진배경 및 필요성


💡 단톡방에 사진을 공유했을 시 정리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삭제된다. 공유한 추억들을 보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.
💡 카테고리별로 사진을 정리하여 모아볼 수 있는 가족단위 아카이빙 서비스
💡 간단한 이모티콘을 보내어 간단하게 안부 연락을 드릴 수 있고, 연락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서비스

📌 터치 포인트

1️⃣ 정보의 폐쇄성을 활용하여, 소중한 가족 관계에 대한 정보를 확산하지 않고 모을 수 있다.

2️⃣ 추억에 대한 감정 공유를 통해 소통을 극대화 할 수 있다.


2. 현황 분석

🧡 설문조사

💕 결과 분석

결론1

  • 2/3 정도의 인원이 주 5일 이상 가족과 직접 교류를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

  • 그럼에도 카카오톡을 필요로 하고 있고, 카카오톡에 부가적인 기능 역시 필요로 하고 있다.

  • 자세히
    • 2번 문항에서, 가족끼리 사용하는 단체 카톡방이 있다고 답한 인원이 86%였다.
      • 하지만, 3번 문항에서는 가족과의 소통에서 직접 대화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50% 이었다.
    • 1.1번 문항을 통해, 65%의 사람들이 주 5회 가족을 만나는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.
      • 그럼에도 사람들은 단톡방이 필요하다고 93%의 높은 비율로 대답함을 알 수 있었다.
    • 5번 문항에서 또한 단톡방에 추가 되었으면 하는 기능2개를 골랐을 때, 사진 정리 및 아카이빙과 일정을 공유하는 알람기능이 있었다.

결론 2

  • 가족 관계 간에도 정보저장이 필요하므로, 사람들은 단톡방과 같이 편하게 정보를 저장하고 싶어하는 서비스를 필요로한다.

  • 자세히
    • 단톡방’에 추가 되었으면 좋을 것 같은 기능 으로,

    • 가족 관련 알림 기능(생일, 기념일 …) : 71.1%

    • 가족 사진 정리 및 아카이빙 : 54.4%

    • 그 외에 “반려 동물 가족 구성원 추가 기능” : 17명 (14.9%)

    • 사람들은 가족 간 카카오톡을 사용하면서, 단순히 대화가 아닌 가족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싶어한다고 생각할 수 도 있다

    • 카카오톡은 많이 쓰는데, 단톡방 결과를 봤을 떄 카카오톡이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.

    • 가족과의 직접대화가 많음에도, 단톡방은 필요로한다.

💡 정리

  • 가족 구성원간의 추억을 한 곳에 모아보고 싶지만 가족 단톡방에 공유되는 사진이나 미디어 파일 등은 시간이 지나면 삭제되어 볼 수 없고 정리가 안됨
  • 기존 서비스 같은 경우에는 많은 유저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, 가족을 위한 SNS 계정을 만든다고 해도, 타인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한다.

💛 고객 인터뷰

Interview


3. 세부내용

❤️ 주요 기능 설계

  1. 사진, 동영상 아카이빙

    • 가족들끼리 추억을 공유할 수 있는데, 카테고리 별로 정리해서 가족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다.
    • 다른 SNS는 기한이 만료되어 자동으로 삭제되는데 ,이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.
  2. 가족들에게 보내는 Push 알림

    • 사진, 동영상을 하나의 주제로 묶어서 저장할 수 있다.
    • 가족들에게 간단한 이모지 형태의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.
  3. 좋아요, 댓글 기능 및 해당 사진만 별도로 확인 가능.

    • 사용자는 사진에 대해서 좋아요 표시와 댓글을 작성 할 수 있다.
    • 가족 구성원 중 SNS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도, 댓글을 통해서 가족 외에 다른이에게 공개가 되는 부담없이 사진에 대해서, 기록을 남길 수 있다.
  4. migration 기능

    • 서비스에 있는 사진들을 개인 드라이브 혹은 Cloud로 쉽게 migration 할 수 있는 기능

🧡 메뉴 구조도

1. Landing Page

  • 카카오톡 소셜 로그인 버튼 → 로그인 가능.

2. Main Page

  1. 사진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. (사진 목록은 사건, 테마 구분 없이)
    • 사진 목록은 생성 시간순으로 정렬
    • 48시간을 기준으로, 사진 목록 우측 하단에 New 마킹을 한다.
  2. 좋아요댓글이 달려 있는 사진들을 모아서 볼 수 있는 버튼 생성 → 버튼 클릭시 좋아요, 댓글을 확인할 수 있는 Like-Comment Detail Page로 접근
  3. 사진 목록 중에 사진을 누르면 Detail Page로 넘어간다.
  4. 상단에 가족 이름, 가족 한줄 소개, 아래의 가족 구성원 버튼이 존재한다.
  5. 알림 기능 - 기념일마다 알림을 보내준다. - 가족 버튼을 누르면, 5개의 버튼이 `Modal`로 나타난다. - 하트, 좋아요, 돈, 화남, 배고파 (♥, 👍, 💵, 😡, 🍗) - 하트 - 사랑해요! - 좋아요 - 최고예요! - 돈 - 머니가 머니머니해도 최고! 용돈주세요 - 화남 - 화가나서 얼굴이 터져버릴 것 같아요 - 배고파 - 꼬르륵 꼬르르르륵… 쓰러지기 일보직전 - 5버튼을 누르면 Push 알림을 보낼 수 있다. - 사진 생성, 좋아요, 댓글시에 push 알림 - 사진 생성은 사진 올리는 행위 기준으로 push 알림 - 좋아요, 댓글은 매 회마다 push

3. Detail Page

  • 시간 순 정렬
  • 인스타그램 피드 형태(프로필 페이지 피드 X)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.
  • 좋아요 수와 댓글 수를 확인할 수 있다.
  • 사진을 클릭하면, Modal 형태로 사진을 확대해서 볼 수 있다.
    • 사진 한 장만 보여준다.
    • 사진 밑에 좋아요 , 좋아요 옆에 좋아요 수 , 댓글 버튼, 그 밑에 댓글 내용 표시

4. Like-Comment Detail Page

  • 좋아요와 댓글이 달려 있는 사진만 확인할 수 있다.
  • 나머지는 Detail Page와 동일.

5. Profile Page

  • 프로필 사진을 변경할 수 있다.
  • 로그인/로그아웃
  • 탈퇴
  • 이모티콘(5개)

4. 기대효과

  1. 👀 기성세대와의 소통

    • 어른들은 평균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대해서 방어적이다.
    • 따라서 가족 단위의 서비스를 만들게 되면, 결국 유입은 대부분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비교적 거부감이 없고, 기능을 잘 사용하는 자식세대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질 것이다.
    • 어른들은 UX 적으로 단계가 복잡해지면 사용이 어려워진다.
      • 음식점에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경우, 메뉴 선택부터, 추가 메뉴, 결제방법, 적립, 영수증 출력 여부 등의 복잡한 단계에서 어른들은 피로를 느낀다.
        • 2020년 9월 ~ 2021년 3월 갤럽(Gallup) 조사
        • 2021 미디어·콘텐츠·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률 조사
          • 대상 : 5100명 (40대 : 882명, 50대 920명, 60대 : 1,341명)’
          • 모바일 메신저 사용경험 (카카오톡 등) : 92%
        • 위 설문 조사와 팀에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가족 단톡방 존재여부 응답률을 통해, 어른들도 카카오톡 정도의 서비스는 충분히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    • 👉 사용자 중심적 UI / Design
      • 기성세대
        • 매끄러움의 추구 → 복잡하지 않은 사용방법(간단한 UX)으로 남녀노소 간단하게 활용 가능
        • 매력적인 디자인 → 젊은 층들의 호감을 사는 매력적인 UI
        • 카카오톡 정도의 UX depth를 가지는 정도로 서비스를 설계하면, 어른들도 어느정도의 부담감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.
      • MZ세대
        • 현재 MZ 세대들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는 서비스라고 하면, 디자인이 괜찮은 서비스를 훨씬 선호한다.
        • MZ 세대 디자인이 마음에 든다고 하면, 적극적으로 소비 하는 경향이 있다. (기사, 통계 자료 필요.)
        • 따라서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깔끔하지만, 귀여운 point 가 들어가 있는 형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.
  2. ✨ 가족의 추억 공유 효과

    • 가족은 인간관계가 가장 오랜기간 맺어지는 만큼, 이에 대한 추억을 저장했을 때, 다른 인간관계 보다 더욱 추억 공유의 효과를 느낄 수 있다.
    • 가족끼리의 추억을 편하게 공유할 수 있다.
    • 사진들을 테마 별로 저장함으로써, 원하는 시간 혹은 장소에서의 사진, 동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.
    • 좋아요, 댓글 기능으로 추억에 대한 추가적인 교감 역시 가능하다.
    • 가족 끼리 간단하면서 재미있게 소통할 수 있는 소통 방법을 통해, 가족간의 소통을 증진할 수 있다.

5. Business Model

1. 요금제에 따른 데이터 저장 용량 차등 제공.

  • 사진, 동영상을 아카이빙 하는 서비스에는 용량 제한이 필수적이다.(사진,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용량을 많이 차지함.)
  • 따라서, 처음 몇 기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용량을 제공하고, 그 후에 확장에 대해서 특정 용량에 따라 돈을 지불

2. 포토북, 액자

  • 충분히 컴퓨터 혹은 휴대폰으로도 사진을 모두 확인할 수 있지만, 사람들은 실물 사진에 대한 욕구도 충분히 갖고 있고, 이는 최근 유행하는 인생네컷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  • 스크랩한 페이지를 통해서 특별한 기념일날 포토북을 만들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.

Popular repositories

  1. OSDS-client OSDS-client Public

    JavaScript

  2. OSDS-server OSDS-server Public

    🌱모락모락🌱 서버

    Python

  3. NodabFamily.github.io NodabFamily.github.io Public

    HTML

  4. .github .github Public

Repositories

Showing 4 of 4 repositories

Top languages

Loading…

Most used topics

Loading…